맨위로가기

영양군 (왕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양군(永陽君)은 조선 중종과 창빈 안씨 사이에서 태어난 왕족으로, 덕흥군의 형이자 인종의 이복 서제이며 명종에게는 서형이다. 경양군부인 순흥 안씨를 부인으로 맞았으나 자녀가 없어 무산군의 손자인 흥녕부정 이수전을 양자로 들였다. 1561년에 사망했으며, 사후 성도의 시호를 받았다. 묘소는 처음 과천에 있었으나 장단으로 이장되었으며, 묘비는 1941년에 세워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61년 사망 - 야마모토 간스케
    야마모토 간스케는 센고쿠 시대의 외눈에 다리를 저는 불구의 몸이었음에도 뛰어난 전략가로 이름을 날린 다케다 신겐의 군사로, 가와나카지마 전투에서 전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 속에서 고문서 발견을 통해 존재를 뒷받침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 1561년 사망 - 사이토 요시타쓰
    사이토 요시타쓰는 센고쿠 시대 미노국의 슈고다이 사이토 가문 당주로, 아버지 사이토 도산을 살해하고 가문을 이었으나 오다 노부나가와 대립하다 급사한 인물이다.
  • 1521년 출생 - 다케다 신겐
    다케다 신겐은 가이 겐지 출신으로 센고쿠 시대를 대표하는 무장으로, '가이의 호랑이'라 불리며 우에스기 겐신과의 가와나카지마 전투, 이마가와 요시모토, 호조 우지야스와의 동맹, 오다 노부나가와의 일시적 동맹,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미카타가하라 전투 등 격변의 시대를 살았다.
  • 1521년 출생 - 모가미 요시모리
    모가미 요시모리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다테 씨와의 관계 속에서 세력을 확장했으며, 아들 모가미 요시아키와의 갈등 끝에 은거하고 70세에 사망했다.
  • 조선 중종의 자녀 - 혜정옹주
    혜정옹주는 조선 중종의 딸로 태어나 혜정옹주로 봉해졌으며, 홍여와 혼인하여 딸을 낳았고, 폐서인되었다가 복권되었으며, 사위 윤호에게 의지하며 살다가 사망했다.
  • 조선 중종의 자녀 - 효혜공주
    효혜공주는 조선 중종과 장경왕후의 장녀로, 김희와 혼인하여 딸 김선옥을 낳았으며, 이질을 앓다 사망하여 고양의 월산대군 묘에 예장되었다.
영양군 (왕족)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양군 이거의 묘
영양군 이 거(李岠)의 묘
거(岠)
작위조선 중종의 왕자
출생일1521년 4월 24일 (음력)
사망일1561년 7월 27일 (음력)
묘소 위치경기도 장단군 장도면 사시리 후록동 인좌원
가족 관계
부친중종
모친창빈 안씨
배우자경양군부인 안방향
자녀양자 이수전(李守詮)

2. 생애

영양군은 1561년 7월 27일 40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경기도 과천현 북면 동작리(현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창빈 안씨 묘소 우측 언덕에 묻혔으며, 이후 부인 순흥군부인 안씨와 합장되었다. 그의 묘소는 대한민국 건국 후 조성된 국립서울현충원 안에 있었으나 실전되었다. 사후 성도의 시호가 내려졌다.

처음 과천 동작리에 있던 묘소는 1581년 2월 26일 경기도 장단군 장도면 사시리(沙是里) 마을 후록 인좌원(後麓寅坐原)으로 이장되었다.[7]

묘비는 1941년 세워졌는데, 한성부판윤, 홍문관대제학을 지낸 민경식(閔景植)이 비문을 짓고, 홍문관부제학과 규장각검열을 지낸 이범석(李範錫)이 글씨를 썼다.[7]

2. 1. 출생 및 가계

자는 탁보(卓甫)이며, 그 밖의 자세한 생애와 호 등은 알려져 있지 않다. 1521년(중종 15) 4월 24일 중종과 안산 안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적순부위를 지낸 안탄대(安坦大)이다. 덕흥군의 친형이자, 정신옹주의 오빠이다. 인종의 이복 서제이자 명종에게는 이복 서형이 된다.

현감을 지내고 증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된 안세형(安世亨)의 딸 경양군부인(景陽郡夫人) 순흥 안씨를 부인으로 맞았으나 후사가 없었다. 그래서 성종의 12번째 서자 무산군 이종(李悰)의 손자이자 부안도정 이석수(扶安都正 李碩壽[8])의 아들인 흥녕부정(興寧副正) 이수전(李秀荃)을 양자로 삼아 후사를 이었다. 그의 양자가 된 흥녕부정은 흥녕군으로 승차되었다.

2. 2. 혼인 및 양자

영양군은 중종과 창빈 안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정부인은 순흥 안씨 안방향으로, 안세형의 4녀이다.[9] 영양군은 아들이 없어 무산군의 손자이자 이석수의 아들인 흥녕부정 이수전을 양자로 들였다.[6]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부왕중종1488년1544년조선 제11대 왕
생모창빈 안씨1499년1549년
동생정신옹주1526년1552년
동생덕흥대원군1530년1559년
정부인경양군부인 안방향1522년 8월 10일1594년 7월 25일안세형의 4녀[9]
양자흥녕부정 이수전1554년1605년무산군의 손자이자 이석수의 아들[6]
며느리서하군부인 풍천 임씨임열의 딸
손자풍해군 이잠1585년1648년
며느리(측실)환진양민 출신
서손녀이온영1580년?
서손자풍릉수 이혼1582년?


2. 3. 사망 및 묘소

1561년 7월 27일 40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그는 경기도 과천현 북면 동작리(현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창빈 안씨 묘소 우측 언덕에 매장되었으며, 이후 그의 부인 순흥군부인 안씨와 합장되었다. 그의 묘소는 대한민국 건국 후 조성된 국립서울현충원 안에 있었으나 실전되었다. 사후 성도의 시호가 내려졌다.

처음에는 과천 동작리에 있던 묘소는 1581년 2월 26일 경기도 장단군 장도면 사시리(沙是里) 마을 후록 인좌원(後麓寅坐原)으로 이장되었다.[7]

묘비는 1941년 세워졌는데, 한성부판윤, 홍문관대제학을 지낸 민경식(閔景植)이 비문을 짓고, 홍문관부제학과 규장각검열을 지낸 이범석(李範錫)이 글씨를 썼다.[7]

3. 가계

관계이름출생사망
부왕중종1488년1544년
생모창빈 안씨1499년1549년
동생정신옹주1526년1552년
동생덕흥대원군1530년1559년
정부인경양군부인 안방향1522년 8월 10일1594년 7월 25일
양자흥녕부정 이수전1554년1605년
며느리서하군부인 풍천 임씨??
손자풍해군 이잠1585년1648년
며느리(측실)환진??
서손녀이온영1580년?
서손자풍릉수 이혼1582년?



영양군의 정부인 경양군부인 안방향은 안세형(安世亨)의 넷째 딸이다.[9] 영양군의 양자인 흥녕부정 이수전은 부안도정 이석수의 아들이다. 며느리 서하군부인은 임열(任說)의 딸이다. 환진은 양민 출신이다.

4. 기타

영양군의 양자 흥녕부정 이수전은 1614년(광해군 6년) 8월 27일 위성원종공신 2등(衛聖原從功臣二等)에 책록되었다.

참조

[1] 서적 https://books.google[...] Historical Culture 2001
[2] 웹사이트 http://www.rfo.co.kr[...] 2021-10-16
[3]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2021-10-16
[4]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2021-10-16
[5]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2021-10-16
[6]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2021-10-16
[7] 웹사이트 http://www.heritage.[...] 2021-10-16
[8] 문서 영양군과는 4촌간이다.
[9] 문서 "[[임영대군]]의 외고손녀\n----[[임영대군]] → [[중모현주]] → 안환의 처 [[거창 신씨|신씨]] → 안세형 → 안방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